올림픽 독립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독립 선수단은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가 없거나 자격이 정지된 선수들이 올림픽에 참가하기 위해 구성된 팀을 의미한다. 1906년 이전에는 혼성팀으로 출전하기도 했으며, 냉전 시기에는 망명 선수들이 개인 자격으로 출전하는 경우가 있었다. 1992년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인한 제재, 2000년 동티모르의 독립 과정, 2012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해체, 2014년 인도, 2016년 쿠웨이트, 2018년 러시아 도핑 파문, 2020년과 2022년 도핑 스캔들 등으로 인해 선수들이 독립 선수단 또는 유사한 자격으로 참가했다. 202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들이 개인 중립 선수 자격으로 참가할 예정이다. 유사 사례로는 혼성팀,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EUN 선수단, ROC 선수단, 올림픽 난민 선수단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립 선수단 - 2010년 아시안 게임 쿠웨이트 출신 선수
2010년 아시안 게임에서 쿠웨이트 선수들은 '쿠웨이트 출신 선수'라는 이름으로 참가하여 총 15개의 메달(금4, 은6, 동5)을 획득했으며, 사격, 가라테, 볼링 종목에서 메달을 땄다. - 올림픽 독립 선수단 - 2018년 동계 올림픽 러시아 출신 선수단
2018년 동계 올림픽 러시아 출신 선수단은 러시아 도핑 스캔들로 국가 자격 참가가 불허되어 국제 올림픽 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라는 중립 자격으로 참가한 선수단으로, 올림픽기 아래에서 경쟁하여 금메달 2개, 은메달 6개, 동메달 9개를 획득했으나 도핑 문제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 올림픽 독립 선수단 - 2024년 하계 올림픽 개인 중립 선수
2024년 하계 올림픽 개인 중립 선수들은 2024년 하계 올림픽에 개인 자격으로 참가하는 벨라루스와 러시아 출신 선수들을 의미하며, 카누, 사이클, 체조 등 다양한 종목에서 총 32명이 참가한다.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은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서독과 동독의 연합으로 구성되어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독일 선수단 승리 시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을 연주하고 올림픽 국기를 사용했으며, 하계 올림픽에서 118개, 동계 올림픽에서 1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영국 선수단
영국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 모두 참가하며, 1896년 첫 근대 올림픽부터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고,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298개,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2개를 획득했다.
올림픽 독립 선수단 | |
---|---|
올림픽 참가 정보 | |
NOC | IOP, IOA, OAR |
올림픽 | 올림픽 |
하계 올림픽 참가 | 독립 올림픽 참가 선수단 (1992) 개인 올림픽 선수단 (2000) 독립 올림픽 선수단 (2012) 독립 올림픽 선수단 (2016) ROC (2020) 개인 중립 선수 (2024) |
동계 올림픽 참가 | 독립 올림픽 참가 선수단 (2014)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2018) ROC (2022) |
2. 역사
199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유고슬라비아 전쟁과 관련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제재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출신 선수들이, 국가 올림픽 위원회 미구성으로 마케도니아 공화국(현재의 북마케도니아) 출신 선수들이 올림픽 독립 참가 선수단 명의로 참가했다.
200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동티모르가 유엔 지원 하에 인도네시아로부터 독립 절차를 진행 중이어서, 동티모르 출신 선수 4명이 '''올림픽 개인 선수단''' 명의로 참가했다.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2010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해체로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회원국 지위를 상실한 옛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출신 선수 3명과, 2011년 수단으로부터 독립했지만 당시 국가 올림픽 위원회가 구성되지 않은 남수단 출신 선수 1명이 올림픽 독립 선수단으로 참가했다.
2014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인도 올림픽 협회가 인도 정부의 간섭 문제로 2012년 12월 IOC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아, 인도 출신 선수 3명이 올림픽 독립 참가 선수단 명의로 참가했다. 그러나 2014년 2월 11일 자격 정지가 해제되어 인도 국기를 달고 경기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10][11][12][13]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쿠웨이트 올림픽 위원회가 쿠웨이트 정부의 간섭 문제로 2015년 10월 IOC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아, 쿠웨이트 출신 선수 9명이 올림픽 독립 선수단 명의로 참가했다.[14][15][16]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가 국가 차원의 도핑 스캔들로 2017년 12월 IOC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아, 러시아 출신 선수들이 '''러시아 출신 선수단'''(Olympic Athlete from Russia, OAR) 명의로 참가했다.[23][24][25]
2020년 하계 올림픽과 2022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러시아가 국가 차원의 도핑 스캔들로 세계 반도핑 기구(WADA)의 제재를 받아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의 약칭인 "ROC"라는 이름으로 참가했다. 국제 올림픽 위원회는 러시아의 국기 대신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를 사용하도록 했다.[27][28]
1906년 중간 올림픽 이전에는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가 지명한 팀만 참가가 허용되지 않았다.
1940년 동계 올림픽은 독일의 체코슬로바키아 영유권 주장으로 체코슬로바키아 NOC를 인정하지 않았지만, 선수들은 올림픽기 아래 출전이 가능했다. 그러나 올림픽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취소되었다.[1]
냉전 기간 동안, 동구권에서 이민 온 일부 선수들은 원래 국가의 NOC가 원하지 않아 올림픽에 출전할 수 없었다.[2]
가이아나가 1976년 하계 올림픽 보이콧에 참여했을 때, 육상 선수 제임스 길크스는 개인 자격 출전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3][4][5]
198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선수들이 올림픽기 아래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규정이 만들어졌다.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에 항의하는 보이콧에도 불구하고, 일부 NOC들은 올림픽에 참석하기를 원했다. 14개의 NOC가 올림픽기 아래에서 경쟁했으며, 뉴질랜드, 스페인, 포르투갈 3개 국가는 각각의 NOC 기 아래에서 경쟁했다.[6][7][8]
2. 1. 1992년 하계 올림픽
199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인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제재를 받고 있던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출신 선수들과 국가 올림픽 위원회가 구성되지 않았던 마케도니아 공화국 출신 선수들이 1992년 하계 올림픽 독립 참가 선수단 명의로 참가했다.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은 유엔 제재를 받아 참가가 금지되었으나, 유고슬라비아 출신 선수들은 개인 자격으로 독립 올림픽 참가 선수 자격으로 경기에 출전할 수 있었다. 총 58명의 선수들이 독립 올림픽 참가 선수로 출전하여 3개의 메달을 획득하였다.[1]
메달 | 선수 | 국적 | 올림픽 | 종목 | 세부 종목 |
---|---|---|---|---|---|
-- | 야스나 셰카리치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1992년 하계 올림픽 | 사격 | 여자 10m 공기 권총 |
-- | 아란카 빈더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1992년 하계 올림픽 | 사격 | 여자 10m 공기 소총 |
-- | 스테반 플레티코시치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1992년 하계 올림픽 | 사격 | 남자 50m 소총 복사 |
2. 2. 2000년 하계 올림픽
200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동티모르 출신 선수 4명이 '''올림픽 개인 선수단''' 명의로 참가했다. 당시 동티모르는 유엔의 지원을 통해 인도네시아로부터 독립하는 과정에 있었다.2. 3. 2012년 하계 올림픽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옛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출신 선수 3명과 남수단 출신 선수 1명이 올림픽 독립 선수단 명의로 참가했다. 네덜란드령 안틸레스는 2010년 10월 10일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해체로 인해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국가 올림픽 위원회가 국제 올림픽 위원회로부터 회원국 지위를 상실한 상태였으며, 2011년 7월 수단으로부터 독립한 남수단은 대회 당시에 공식적인 국가 올림픽 위원회가 구성되지 않은 상태였다.2. 4. 2014년 동계 올림픽
2014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인도 출신 선수 3명이 올림픽 독립 참가 선수단 명의로 참가했다. 인도 올림픽 협회는 대회 당시에 인도 정부의 간섭이 문제가 되어 2012년 12월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은 상태였다.[10] 2014년 동계 올림픽 개막 이틀 후인 2014년 2월 9일에 새로운 선거가 예정되어 있었다.[11] 따라서, 올림픽 출전 자격을 얻은 세 명의 인도 선수들은 독립 올림픽 선수 자격으로 경기에 출전할 예정이었다.[10]2월 8일과 9일, 쉬바 케샤반은 루지 경기에 출전하여 38위를 기록했다. 그는 독립 올림픽 선수 자격으로 공식적으로 경기에 참가한 유일한 선수가 되었다.
2014년 2월 11일, IOC는 세계 스쿼시 연맹 회장인 나라야나 라마찬드란이 인도 올림픽 협회의 새로운 회장으로 선출됨에 따라 인도 올림픽 협회의 자격을 복원시켰다. 이로써 남은 두 명의 선수들은 독립 선수 자격이 아닌 인도의 국기를 달고 경기에 출전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의 자격 복원이 올림픽 경기 진행 중에 이루어진 것은 처음이었다.[12][13]
2. 5. 2016년 하계 올림픽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쿠웨이트 출신 선수 9명이 올림픽 독립 선수단 명의로 참가했다. 쿠웨이트 올림픽 위원회는 대회 당시에 쿠웨이트 정부의 간섭이 문제가 되어 2015년 10월에 국제 올림픽 위원회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은 상태였다.[14][15][16] 이는 5년 만에 두 번째 자격 정지였다. 첫 번째 자격 정지로 인해 쿠웨이트 선수들은 2010년 아시안 게임에서 올림픽기를 달고 경기에 출전해야 했다. 페하이드 알-데하니는 독립 올림픽 선수로서 최초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1992년 하계 올림픽의 올림픽 연합 선수단의 금메달과 마찬가지로 시상식에서 올림픽 찬가가 연주되었다.메달 | 이름 | 국적 | 대회 | 종목 | 세부 종목 |
---|---|---|---|---|---|
페하이드 알데하니 | 쿠웨이트 | 2016년 하계 올림픽 | 사격 | 남자 더블 트랩 | |
압둘라 알라시디 | 쿠웨이트 | 2016년 하계 올림픽 | 사격 | 남자 스키트 |
2. 6. 2018년 동계 올림픽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러시아 출신 선수들이 올림픽 독립 선수단 성격을 띤 '''러시아 출신 선수단'''(영어: Olympic Athlete from Russia, OAR) 명의로 참가했다.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는 대회 당시에 국가 차원의 도핑 스캔들로 인하여 2017년 12월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은 상태였다.[23][24][25]2017년 12월 5일, 국제 올림픽 위원회는 국가 주도의 도핑 프로그램으로 인해 러시아가 2018년 동계 올림픽에 출전할 수 없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러시아 선수들은 발레리 푸르네롱이 의장을 맡고 IOC, 세계 반도핑 기구, 국제 스포츠 연맹 글로벌 협회(GAISF)의 도핑 없는 스포츠 부서의 대표들로 구성된 패널의 승인을 받으면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OAR) 자격으로 올림픽기 아래 출전할 수 있었다.
메달 | 이름 | 국적 | 대회 | 종목 | 세부 종목 |
---|---|---|---|---|---|
알리나 자기토바 | 러시아 | 2018년 동계 올림픽 | 피겨스케이팅 | 여자 싱글 | |
세르게이 안드로노프, 알렉산드르 바라바노프, 파벨 다추크, 블라디슬라프 가브리코프, 미하일 그리고렌코, 니키타 구세프, 일리야 카블루코프, 세르게이 칼리닌, 키릴 카프리조프, 보그단 키셀레비치, 바실리 코셰치킨, 일리야 코발추크, 알렉세이 마르첸코, 세르게이 모자킨, 니키타 네스테로프, 니콜라이 프로호르킨, 이고르 셰스툐르킨, 바딤 시파초프, 세르게이 시로코프, 일리야 소로킨, 이반 텔레긴, 뱌체슬라프 보이노프, 이고르 야코블레프, 아르툠 주브, 안드레이 주바레프 | 러시아 | 2018년 동계 올림픽 | 아이스하키 | 남자 토너먼트 | |
미하일 콜야다,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알리나 자기토바, 예브게니야 타라소바, 블라디미르 모로조프, 나탈리아 자비야코, 알렉산드르 엔베르트, 예카테리나 보브로바, 드미트리 솔로비예프 | 러시아 | 2018년 동계 올림픽 | 피겨스케이팅 | 단체전 | |
니키타 트레구보프 | 러시아 | 2018년 동계 올림픽 | 스켈레톤 | 남자 | |
알렉산드르 볼슈노프, 알렉세이 체르보트킨, 안드레이 라르코프, 데니스 스피초프 | 러시아 | 2018년 동계 올림픽 | 크로스컨트리 스키 | 남자 4 × 10 킬로미터 계주 | |
알렉산드르 볼슈노프, 데니스 스피초프 | 러시아 | 2018년 동계 올림픽 | 크로스컨트리 스키 | 남자 팀 스프린트 | |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 러시아 | 2018년 동계 올림픽 | 피겨스케이팅 | 여자 싱글 | |
알렉산드르 볼슈노프 | 러시아 | 2018년 동계 올림픽 | 크로스컨트리 스키 | 남자 50 킬로미터 클래식 | |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 러시아 | 2018년 동계 올림픽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남자 1500m | |
율리아 벨로루코바 | 러시아 | 2018년 동계 올림픽 | 크로스컨트리 스키 | 여자 스프린트 | |
알렉산드르 볼슈노프 | 러시아 | 2018년 동계 올림픽 | 크로스컨트리 스키 | 남자 스프린트 | |
데니스 스피초프 | 러시아 | 2018년 동계 올림픽 | 크로스컨트리 스키 | 남자 15 킬로미터 프리스타일 | |
나탈리아 보로니나 | 러시아 | 2018년 동계 올림픽 | 스피드 스케이팅 | 여자 5000m | |
율리아 벨로루코바, 안나 네차옙스카야, 나탈리아 네프리야에바, 아나스타샤 세도바 | 러시아 | 2018년 동계 올림픽 | 크로스컨트리 스키 | 여자 4 × 5 킬로미터 계주 | |
일리야 부로프 | 러시아 | 2018년 동계 올림픽 | 프리스타일 스키 | 남자 에어리얼 | |
세르게이 리드지크 | 러시아 | 2018년 동계 올림픽 | 프리스타일 스키 | 남자 스키 크로스 | |
안드레이 라르코프 | 러시아 | 2018년 동계 올림픽 | 크로스컨트리 스키 | 남자 50 킬로미터 클래식 |
2. 7. 2020년 하계 올림픽
러시아는 국가 차원의 도핑 스캔들에 대한 세계 반도핑 기구(WADA)의 결정에 따라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의 약칭인 "ROC"라는 이름으로 참가했다.[27][28]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러시아의 국기 대신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를 사용한다고 발표했다.[27][28] 또한 러시아의 나라색,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의 로고, "ROC"라는 약칭이 새겨진 팀 유니폼을 사용하는 것도 허용되었다.[27][28]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날짜 |
---|---|---|---|---|
비탈리나 바차라쉬키나 | 사격 | 여자 10m 공기 권총 | 7월 25일 | |
소피아 포즈드냐코바 | 펜싱 | 여자 사브르 | 7월 26일 | |
데니스 아블랴진, 다비드 벨랴프스키, 아르투르 달라로얀, 니키타 나고르니 | 체조 | 남자 단체 종합 | 7월 26일 | |
막심 흐람초프 | 태권도 | 남자 80kg | 7월 26일 | |
예브게니 릴로프 | 수영 | 남자 100m 배영 | 7월 27일 | |
릴리야 아카이모바, 빅토리아 리스투노바, 안젤리나 멜니코바, 블라디슬라바 우라조바 | 체조 | 여자 단체 종합 | 7월 27일 | |
블라디슬라프 라린 | 태권도 | 남자 +80kg | 7월 27일 | |
인나 데리글라조바, 라리사 코로베이니코바, 마르타 마르티아노바, 아델리나 자기둘리나 | 펜싱 | 여자 단체 플뢰레 | 7월 29일 | |
예브게니 릴로프 | 수영 | 남자 200m 배영 | 7월 30일 | |
비탈리나 바차라쉬키나 | 사격 | 여자 25m 권총 | 7월 30일 | |
올가 니키티나, 소피아 포즈드냐코바, 소피야 벨리카야 | 펜싱 | 여자 단체 사브르 | 7월 31일 | |
안드레이 루블레프, 아나스타시아 파블류첸코바 | 테니스 | 혼합 복식 | 8월 1일 | |
무사 예블로예프 | 레슬링 | 남자 그레코로만형 97kg | 8월 3일 | |
스베틀라나 콜레스니첸코, 스베틀라나 로마시나 | 싱크로나이즈 스위밍 | 여자 듀엣 | 8월 4일 | |
알베르트 바티르가지예프 | 복싱 | 남자 페더급 | 8월 5일 | |
자우르 우구예프 | 레슬링 | 남자 자유형 57kg | 8월 5일 | |
자우르베크 시라코프 | 레슬링 | 남자 자유형 74kg | 8월 6일 | |
블라다 치기레바, 마리나 골리아드키나, 스베틀라나 콜레스니첸코, 폴리나 코마르, 알렉산드라 파츠케비치, 스베틀라나 로마시나, 알라 시시킨아, 마리아 슈로치키나 | 싱크로나이즈 스위밍 | 여자 단체 | 8월 7일 | |
압둘라시드 사둘라예프 | 레슬링 | 남자 자유형 97kg | 8월 7일 | |
마리야 라시츠케네 | 육상 | 여자 높이뛰기 | 8월 7일 | |
아나스타시야 갈라시나 | 사격 | 여자 10m 공기 소총 | 7월 24일 | |
스베틀라나 곰보예바, 엘레나 오시포바, 크세니야 페로바 | 양궁 | 여자 단체 | 7월 25일 | |
인나 데리글라조바 | 펜싱 | 여자 플뢰레 | 7월 25일 | |
타티아나 미니나 | 태권도 | 여자 57kg | 7월 25일 | |
소피야 벨리카야 | 펜싱 | 여자 사브르 | 7월 26일 | |
클리멘트 콜레스니코프 | 수영 | 남자 100m 배영 | 7월 27일 | |
비탈리나 바차라쉬키나, 아르템 체르노우소프 | 사격 | 혼성 10m 공기 권총 단체 | 7월 27일 | |
미하일 도브갈류크, 이반 기레프, 알렉산드르 크라스니흐, 마틴 말류틴, 예브게니 릴로프, 미하일 베코비시체프 | 수영 | 남자 4x200m 자유형 계영 | 7월 28일 | |
예브게니야 프로키나, 올가 프로키나, 율리야 코지크, 아나스타시야 로구노바 | 농구 | 여자 3x3 | 7월 28일 | |
일리야 카르펜코프, 키릴 피스클로프, 스타니슬라프 샤로프, 알렉산더 주에프 | 농구 | 남자 3x3 | 7월 28일 | |
바실리사 스테파노바, 엘레나 오리아빈스카야 | 조정 | 여자 무타페어 | 7월 29일 | |
한나 프라카첸 | 조정 | 여자 싱글 스컬 | 7월 30일 | |
엘레나 오시포바 | 양궁 | 여자 개인전 | 7월 30일 | |
세르게이 비다, 니키타 글라즈코프, 세르게이 호도스, 파벨 수코프 | 펜싱 | 남자 단체 에페 | 7월 30일 | |
율리야 지코바 | 사격 | 여자 50m 소총 3자세 | 7월 31일 | |
카렌 카차노프 | 테니스 | 남자 단식 | 8월 1일 | |
아나스타시야 일리안코바 | 체조 | 여자 평행봉 | 8월 1일 | |
안톤 보로다체프, 키릴 보로다체프, 블라디슬라프 밀니코프, 티무르 사핀 | 펜싱 | 남자 단체 플뢰레 | 8월 1일 | |
아슬란 카라체프, 엘레나 베스니나 | 테니스 | 혼합 복식 | 8월 1일 | |
세르게이 카멘스키 | 사격 | 남자 50m 소총 3자세 | 8월 2일 | |
데니스 아블랴진 | 체조 | 남자 도마 | 8월 2일 | |
안젤리카 시도로바 | 육상 | 여자 장대높이뛰기 | 8월 5일 | |
무슬림 가지마고메도프 | 복싱 | 남자 헤비급 | 8월 6일 | |
뱌체슬라프 크라실니코프, 올레그 스토야노프스키 | 배구 | 남자 비치 발리볼 | 8월 7일 | |
디나 아베리나 | 리듬 체조 | 여자 개인 종합 | 8월 7일 | |
러시아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 | 배구 | 남자 | 8월 7일 | |
아나스타시아 블리즈뉴크, 아나스타시야 막시모바, 안젤리나 시카토바, 아나스타시야 타타레바, 알리사 티셴코 | 리듬 체조 | 여자 단체 종합 | 8월 8일 | |
러시아 여자 핸드볼 국가대표팀 | 핸드볼 | 여자 | 8월 8일 | |
미하일 아르타모노프 | 태권도 | 남자 58kg | 7월 24일 | |
라리사 코로베이니코바 | 펜싱 | 여자 플뢰레 | 7월 25일 | |
알렉산드르 본다르, 빅토르 미니바예프 | 다이빙 | 남자 싱크로나이즈 10m 플랫폼 | 7월 26일 | |
율리야 카리모바, 세르게이 카멘스키 | 사격 | 혼성 10m 공기 소총 단체 | 7월 27일 | |
마디나 타이마조바 | 유도 | 여자 70kg | 7월 28일 | |
니키타 나고르니 | 체조 | 남자 개인 종합 | 7월 28일 | |
클리멘트 콜레스니코프 | 수영 | 남자 100m 자유형 | 7월 29일 | |
니야즈 일리야소프 | 유도 | 남자 100kg | 7월 29일 | |
안젤리나 멜니코바 | 체조 | 여자 개인 종합 | 7월 29일 | |
타멜란 바샤예프 | 유도 | 남자 +100kg | 7월 30일 | |
율리야 카리모바 | 사격 | 여자 50m 소총 3자세 | 7월 31일 | |
이맘 하타예프 | 복싱 | 남자 라이트헤비급 | 8월 1일 | |
안드레이 잠코보이 | 복싱 | 남자 웰터급 | 8월 1일 | |
다리야 슈멜레바, 아나스타시야 보이노바 | 사이클 | 여자 단체 스프린트 | 8월 2일 | |
안젤리나 멜니코바 | 체조 | 여자 마루 | 8월 2일 | |
세르게이 에멜린 | 레슬링 | 남자 그레코로만형 60kg | 8월 2일 | |
세르게이 세메노프 | 레슬링 | 남자 그레코로만형 130kg | 8월 2일 | |
니키타 나고르니 | 체조 | 남자 철봉 | 8월 3일 | |
글레브 박시 | 복싱 | 남자 미들급 | 8월 5일 | |
아르투르 나이포노프 | 레슬링 | 남자 자유형 86kg | 8월 5일 | |
젬피라 마고메달리에바 | 복싱 | 여자 미들급 | 8월 6일 | |
굴나즈 하툰체바, 마리야 노볼로도스카야 | 사이클 | 여자 매디슨 | 8월 6일 | |
가지무라드 라시도프 | 레슬링 | 남자 자유형 65kg | 8월 7일 |
2. 8. 2022년 동계 올림픽
러시아는 국가 차원의 도핑 스캔들로 인해 세계 반도핑 기구(WADA)로부터 제재를 받아, 2022년 동계 올림픽에서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의 약칭인 "ROC"라는 이름으로 참가했다.[27] 이는 2020년 하계 올림픽에 이어 두 번째였다.러시아 선수단은 러시아의 국기 대신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의 기를 사용했으며, 유니폼에는 러시아 나라색,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로고, "ROC" 약칭이 새겨졌다.
메달 | 이름 | 종목 | 세부 종목 | 날짜 |
---|---|---|---|---|
알렉산드르 볼쇼우노프 | 크로스컨트리 스키 | 남자 30km 스키애슬론 | ||
나탈리야 네프리야예바 타티야나 소리나 베로니카 스테파노바 율리야 스투팍 | 크로스컨트리 스키 | 여자 4 × 5km 계주 | ||
알렉산드르 볼쇼우노프 알렉세이 체르보트킨 데니스 스피초프 세르게이 유스티우고프 | 크로스컨트리 스키 | 남자 4 × 10km 계주 | ||
안나 셰르바코바 | 피겨스케이팅 | 여자 싱글 | ||
알렉산드르 볼쇼우노프 | 크로스컨트리 스키 | 남자 50km 프리스타일 | ||
나탈리야 네프리야예바 | 크로스컨트리 스키 | 여자 15km 스키애슬론 | ||
데니스 스피초프 | 크로스컨트리 스키 | 남자 30km 스키애슬론 | ||
이리나 아브바쿠모바 예브게니 클리모프 이르마 마키니아 다닐 사드레예프 | 스키 점프 | 혼성 단체 | ||
알렉산드르 볼쇼우노프 | 크로스컨트리 스키 | 남자 15km 클래식 | ||
콘스탄틴 이블리예프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남자 500m | ||
니키타 카찰라포프 빅토리아 시니치나 | 피겨스케이팅 | 아이스 댄스 | ||
다닐 알도시킨 세르게이 트로피모프 루슬란 자하로프 | 스피드 스케이팅 | 남자 팀 추월 | ||
이리나 카자케비치 스베틀라나 미로노바 울리야나 니그마툴리나 크리스티나 레즈초바 | 바이애슬론 | 여자 계주 | ||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 피겨스케이팅 | 여자 싱글 | ||
이반 야키무시킨 | 크로스컨트리 스키 | 남자 50km 프리스타일 | ||
dab=피겨 스케이팅 선수}} 예브게니야 타라소바 | 피겨스케이팅 | 페어 스케이팅 | ||
러시아 남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아이스하키 | 남자 토너먼트 | ||
울리야나 니그마툴리나 크리스티나 레즈초바 알렉산드르 로기노프 에두아르트 라티포프 | 바이애슬론 | 혼성 계주 | ||
dab=프리스타일 스키 선수}} | 프리스타일 스키 | 여자 모굴 | ||
[29] | 알렉산드르 갈리아모프 니키타 카찰라포프 마르크 콘드라튜크 아나스타샤 미시나 빅토리아 시니치나 | 피겨스케이팅 | 단체전 | |
빅 와일드 | 스노보드 | 남자 평행대회전 | ||
알렉산드르 테렌티예프 | 크로스컨트리 스키 | 남자 스프린트 | ||
타티야나 이바노바 | 루지 | 여자 싱글 | ||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남자 1500m | ||
에두아르트 라티포프 | 바이애슬론 | 남자 추적 | ||
안젤리나 골리코바 | 스피드 스케이팅 | 여자 500m | ||
사이드 카리물라 할릴리 에두아르트 라티포프 알렉산드르 로기노프 막심 츠베트코프 | 바이애슬론 | 남자 계주 | ||
나탈리야 네프리야예바 율리야 스투팍 | 크로스컨트리 스키 | 여자 팀 스프린트 | ||
알렉산드르 볼쇼우노프 알렉산드르 테렌티예프 | 크로스컨트리 스키 | 남자 팀 스프린트 | ||
일리야 부로프 | 프리스타일 스키 | 남자 에어리얼 | ||
세르게이 리드지크 | 프리스타일 스키 | 남자 스키 크로스 | ||
알렉산드르 갈리아모프 아나스타샤 미시나 | 피겨스케이팅 | 페어 스케이팅 |
2. 9. 2024년 하계 올림픽
2024년 하계 올림픽에는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들이 개인 중립 선수 자격으로 참가할 예정이다.[1]메달 | 이름 | 국가 | 종목 | 세부 종목 | 날짜 |
---|---|---|---|---|---|
이반 리트비노비치 | 벨라루스 | 체조 | 남자 트램폴린 | 8월 2일 | |
비야레타 바르지라우스카야 | 벨라루스 | 체조 | 여자 트램폴린 | 8월 2일 | |
야우헤니 잘라티 | 벨라루스 | 조정 | 남자 싱글 스컬 | 8월 3일 | |
Мирра Андреева|미라 안드레예바ru Диана Шнайдер|다이아나 슈나이더ru | 러시아 | 테니스 | 여자 복식 | 8월 4일 | |
야우헤니 치한초우 | 벨라루스 | 역도 | 남자 102kg | 8월 10일 |
3. 유사 사례
3. 1. 혼성팀
1896년부터 1904년까지 여러 국적의 선수들이 연합하여 구성된 팀이다. 초기 올림픽에는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가 지명한 팀만 참가가 허용되지 않았고, 여러 국적 선수들이 한 팀을 이루어 일부 단체 종목에서 경쟁했다. 개인 종목 참가자는 당시 국적을 기준으로 소급하여 인정된다.[1]
3. 2. 1980년 하계 올림픽
1980년 하계 올림픽은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에 대한 항의로 서방 국가들이 보이콧을 선언했으나, 일부 선수들은 올림픽기를 사용하며 개인 자격으로 참가했다.[6][7][8]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1980년 하계 올림픽 모스크바에 맞춰 선수들이 올림픽기 아래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처음 규정을 만들었다. 일부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는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에 항의하는 미국 주도의 보이콧에 대한 자국 정부의 지지에도 불구하고 올림픽에 참석하기를 원했다. NOC들은 정부의 승인 없이 국가 상징을 사용하는 것을 꺼려 IOC는 이 요건을 완화했다. 14개의 NOC가 올림픽기 아래에서 경쟁했으며, 뉴질랜드, 스페인, 포르투갈 3개 국가는 각각의 NOC 기 아래에서 경쟁했다.[6][7][8]
3. 3. EUN 선수단
소련의 붕괴 이후 구 소련 국가들(발트 3국 제외)은 1992년 동계 및 하계 올림픽에서 통합 선수단(EUN)으로 올림픽기 아래에서 경쟁했다.[8] 이는 각국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가 아직 승인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이다.
3. 4. 올림픽 난민 선수단
2016년 하계 올림픽 난민 선수단, 2020년 하계 올림픽 난민 선수단, 2024년 하계 올림픽 난민 선수단은 난민 자격으로 올림픽에 참가하는 선수들로 구성된 선수단이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the Modern Olympic Movement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3-06-16
[2]
문서
Espy 1981, pp.168–9
[3]
웹사이트
Guyana: Olympic tradition.
http://www.nbcolympi[...]
NBC
2012-10-17
[4]
뉴스
James Wilkes [sic] deserved to compete in Olympics
https://newspaperarc[...]
1976-07-26
[5]
뉴스
James Gilkes: A lost opportunity
http://www.stabroekn[...]
2013-06-16
[6]
문서
Espy 1981, p.196
[7]
간행물
Around the National Olympic Committees: Declaration by 18 European NOCs
http://library.la84.[...]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6-08-19
[8]
간행물
The Hidden Legacies of Moscow '80: Changes in Ceremonial and Attitudes
http://library.la84.[...]
ISOH
2016-08-19
[9]
뉴스
Olympics-Kuwait to hoist the flag at Games after row resolved
https://www.reuters.[...]
2012-07-24
[10]
웹사이트
Indian athletes to compete under Olympic flag at Sochi Games
https://www.theglobe[...]
2014-01-19
[11]
뉴스
Shiva Keshavan qualifies for Sochi Winter Olympics
http://timesofindia.[...]
2014-01-19
[12]
웹사이트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reinstates India at Sochi after ban
http://edition.cnn.c[...]
CNN
2014-02-11
[13]
웹사이트
IOC Executive Board lifts suspension of NOC of India
http://www.olympic.o[...]
2016-08-10
[14]
뉴스
IOC suspends Kuwait's national Olympic committee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15-11-04
[15]
뉴스
Suspension of the Kuwait Olympic Committee
http://www.olympic.o[...]
Olympics
2015-11-04
[16]
뉴스
Independent Olympic Athletes
https://www.rio2016.[...]
Rio 2016 Organising Committee for the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2016-08-03
[17]
웹사이트
Team of Refugee Olympic Athletes (ROA) created by the IOC
http://www.olympic.o[...]
IOC
2016-03-03
[18]
웹사이트
Russians, Kenyans to face evaluation for Rio Games spots, IOC chief Thomas Bach says
http://www.abc.net.a[...]
2016-07-22
[19]
웹사이트
Rio 2016: Every Russian athlete except Darya Klishina and Yuliya Stepanova rejected from competing at Olympics
https://www.independ[...]
2016-07-22
[20]
웹사이트
Decision of the IOC Executive Board concerning the participation of Russian athletes in the Olympic Games Rio 2016
https://www.olympic.[...]
2016-07-24
[21]
웹사이트
Background Information to the decision of the IOC Executive Board concerning the participation of Russian athletes in the Olympic Games Rio 2016
https://www.olympic.[...]
2016-07-27
[22]
웹사이트
Russian Darya Klishina training where Australians train ahead of 2016 Rio Olympics
http://www.smh.com.a[...]
Sydney Morning Herald
2016-08-01
[23]
뉴스
IOC bans Russia from Pyeongchang Olympics, but will allow clean athletes to compete as neutrals
https://nationalpost[...]
National Post
2017-12-05
[24]
뉴스
Russia Banned from Winter Olympics by I.O.C.
https://www.nytimes.[...]
2017-12-05
[25]
뉴스
Russia banned from 2018 Olympics for widespread doping program
https://www.washingt[...]
2017-12-05
[26]
웹사이트
29 refugee athletes to send a message of solidarity and hope to the world at the Olympic Games Tokyo 2020
https://olympics.com[...]
2021-06-08
[27]
뉴스
Olympics: Russia to compete under ROC acronym in Tokyo as part of doping sanctions
https://www.reuters.[...]
2021-02-20
[28]
뉴스
Russia's flag banned but national colors on Olympic uniforms
https://apnews.com/a[...]
[29]
웹사이트
BEIJING 2022 FIGURE SKATING TEAM EVENT RESULTS
https://olympics.com[...]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24-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